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또래관계 스트레스, 무망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 : 성인애착의 매개된 조절효과

이용수  127

영문명
Relationships between peer str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발행기관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저자명
조선옥(Cho, Sun Ok) 이태연(Lee, Tae Yeon)
간행물 정보
『방과후학교연구』제11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관계 스트레스와 무망감 그리고 우울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 성인애착이 이러한 구조적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거주 중학교 2학년 및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200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먼저 또래관계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무망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또래관계 스트레스와 무망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성인애착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의 model 1을 활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하여 또래관계 스트레스, 무망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에 성인애착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첫째, 또래관계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관계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무망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망감이 청소년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은 또래관계 스트레스, 무망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에 유의한 매개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또래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청소년은 무망감을 더 많이 느끼며 그 결과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애착을 형성한 청소년은 또래관계 스트레스가 높더라도 무망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관계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을 경험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방과 후 프로그램의 적용과 확장에 중요한 의미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lann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 str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at adult attachment has on these structural relationships. For this research purpose, data from 200 adolesc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living in large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we ver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hether hopeless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ress and depression, and model 1 of the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ress and hopelessness. Lastly, model 4 of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whether adult attachment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r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peer relationship str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dolescent depression. Second, peer relationship str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dolescents’ sense of hopelessness. Third, hopeless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Fourth,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str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peer relationship stress, the more hopeless adolescents felt, which resulted in increased depression. Additionally, adolescents who formed a secure attachment were found to feel less hopeless even when peer relationship stress was high. These results can be sai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effective after-school programs targeting adolescents who experience depression due to peer relationship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선옥(Cho, Sun Ok),이태연(Lee, Tae Yeon). (2024).청소년의 또래관계 스트레스, 무망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 : 성인애착의 매개된 조절효과. 방과후학교연구, 11 (2), 1-21

MLA

조선옥(Cho, Sun Ok),이태연(Lee, Tae Yeon). "청소년의 또래관계 스트레스, 무망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 : 성인애착의 매개된 조절효과." 방과후학교연구, 11.2(2024):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