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대학 신입생의 학업 적응 프로그램 효과 분석
이용수 32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daptation Program for Freshmen at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박혜진(Park, Hye Jin) 차승봉(Cha, Seung Bong)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11권 제2호, 139~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입생들의 학업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운영된 프로그램은 총 4차시로 개발하였으며, 내용은 대학 생활의 이해, 학생 성공의 의미, 인간관계의 중요성, 자기 계발, 목표관리, 학습전략 찾기, 노트필기 전략, 시험 전략 등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4주에 걸쳐 비교과로 운영하였으며, 최종 이수한 170명의 학생 중 158명의 설문을 토대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정,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의 학습전략,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신입생의 학업성취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평가 결과 모든 문항이 4.59점을 넘어 프로그램 운영 측면과 학업관련성 측면에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신입생 학업 적응 프로그램은 대학에서 필요한 학습전략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통해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신입생의 학업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nd analyzing a program designed to assist freshmen in academic adaptation. The program, conducted over four sessions, included topics such as understanding university life, the meaning of student success,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velopment, goal management, discovering learning strategies, note-taking strategies, and exam strategie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over four week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s from 158 out of 170 participating students, utiliz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sample t-test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reshmen's learning strategies and social self-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regarding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values. Thirdly, participant evaluations of the program indicated high satisfaction, with all items scoring above 4.59, reflecting positive feedback on program implementation and academic relevance. Consequently, the freshmen academic adaptation program effectively aided in acquiring essential learning strategies and positively impacted social self-efficacy through the formation of desir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cademic adaptation programs for freshmen in univers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