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인간 외상 경험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의도적 반추를 통한 자기자비와 감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19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치료학회
저자명
박경인 김은석
간행물 정보
『교육치료연구』제16권 제2호, 293~3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성장 모형에 기반하여 의도적 반추가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자기자비와 감사성향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인간 외상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대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인간 외상경험, 사건충격, 사건관련 반추, 외상 후 성장, 자기자비, 감사성향을 측정하였고, SPSS 29.0과 PROCESS Macro 4.3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적 반추가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에 의해 조절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in this mediation process. Data from an online survey of 223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measuring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impact of event, event-related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3.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liberat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self-compass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Third, gratitude was found to moderate the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인,김은석. (2024).대인간 외상 경험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의도적 반추를 통한 자기자비와 감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6 (2), 293-313

MLA

박경인,김은석. "대인간 외상 경험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의도적 반추를 통한 자기자비와 감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6.2(2024): 293-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