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위탁 가정폭력 행위자들의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사례연구 - K시의 상담위탁 가정폭력 행위자를 중심으로 -
이용수 340
- 영문명
- Qualitative Analysis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Violence of Domestic Violence Offenders Entrusted with Counseling - Focusing on Domestic Violence Offenders Entrusted with Counseling in K City -
- 발행기관
-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김희숙 서혜석
- 간행물 정보
- 『교정상담학연구』제9권 제1호, 6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위탁 가정폭력 행위자들의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사례연구로 보웬 가족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가정폭력 행위자들의 폭력 경험에 관한 요인과 규명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D 법원에서 가정보호사건 8호처분 상담위탁 판결을 받은 가정폭력 행위자로 총 5인의 남녀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11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주 2~3회, 회기당 90분 심층 면담 하고 녹음, 현장 노트, 경험 보고서 등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기초정보를 확인하고 범죄 경력 및 가정폭력 사건 요인으로 남편폭력, 아내폭력, 부모폭력, 자녀폭력 대상을
4분류로 구분하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범주와 73개의 의미 내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폭력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를 통해 불안과 자아분화, 삼각관계, 가족투사 과정이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행위자들의 불안이 감소하고 감정 반사행
동을 하지 않고 폭력이 줄어들면서 미분화 되었던 자아 분화 수준이 향상되었다. 둘째, 정폭력 행위자들의 가족 삼각관계에서 탈삼각화 되어 자율적인 관계를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 행위자들의 가족투사로 인한 다세대 전수 과정이 중단됨으로 폭력이 중단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행위자들의 가족의 모습에 대해 미숙한 행동을 확인하면서 정서안정감과 순환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향후 가정폭력 행위자 관련 상담 등에 긍정적인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violence by domestic violence offenders entrusted with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factors and identify the experiences of violence of domestic violence offenders based on Bowen's family therapy the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5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ho were perpetrators of domestic violence who were sentenced by the D court in K City to entrust counseling for the disposition of domestic protection case No. 8.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2022 to April 2023, with in-depth interviews of 90 minutes per session, and original data such as recording, field notes, and experience reports were analyzed. After confirm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ing the original data by categorizing husband violence, wife violence, parental violence, and child violence into 4 categories based on criminal history and domestic violence incident factors, 3 categories and 73 meaning contents were derived.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anxiety, self-differentiation, triangular relationships, and family projection processes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ies on experiences of viol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anxiety of domestic violence offenders decreased and violence decreased without emotional reflex behavior, the previously undifferentiated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mproved. Seco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detriangulating the family triangle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and forming an autonomous relationship.Third, the effect of stopping violence was found as the multigenerational transfer process was interrupted due to the family projection of domestic violence offenders. Based on these results, positive results emerged where emotional stability and cyclical interaction were observed while confirming immature behaviors in the family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positve effects in future counseling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offenders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