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조절 효과

이용수  390

영문명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on Self-determination in Relation to Maladjustment to College Life
발행기관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저자명
홍여란 이주희
간행물 정보
『교정상담학연구』제9권 제1호, 33~5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G 광역시와 J 도에 소재한 4년 대학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92명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Pearson 상관 분석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부모양육태도 척도(PAS), 대학생활 적응 척도(ClAS), 자기결정성 척도를 측정(SDS)fmf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 인에서는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대학생활 적응 하위 요인 인 사회적응과 개인-정서적응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자기결정성 하위 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모두에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결정성이 부모양육태도와 상호작용하여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대학생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교 상담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활용성과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자료로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maladjustment and parental attitud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92 college students (male and female) from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SPSS 26.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s measurement tools,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PAS),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ClAS), and Self-Determination Scale (SD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mal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shown in affection-hostility, autonomy-control,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rationality-irrationalit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daptation and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determination is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maladjustment to college life. It was found that self-determination was regulated in all of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such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had an effect on college life maladjustment, and that self-determination was regul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parenting attitud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counseling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여란,이주희. (2024).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조절 효과. 교정상담학연구, 9 (1), 33-59

MLA

홍여란,이주희.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학생활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조절 효과." 교정상담학연구, 9.1(2024): 3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