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적응 요인이 직업상담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효과: 자기성찰, 전문직업성 및 내재적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
이용수 225
- 영문명
- Effect of Maladjustment Factors on Job Performance of Career Counselor: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Professional Occupa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나영숙 박희현
- 간행물 정보
- 『교정상담학연구』제9권 제1호, 123~169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상담사가 경험하는 부적응 요인이 다양한 구직자들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직무성과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고용노동부 민간위탁기관, 지방자치단체 일자리센터, 신규근로지원센터, 대학일
자리(플러스)센터 등의 기관에 근무하는 직업상담사 총 212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Hayes(2017)의 PROCESS 거시모형 81의 모형검증을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랩 표본은 5,000명으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작업환경척도, 자기성찰척도, 전문직 업척도, 내재적 만족척도, 직무성과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 요인은 자기성찰, 전문성, 내재적 직무만족, 직무성과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고, 그 외의 변수들은 서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적응 요인은 순차적으로 자기성찰과 전문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적응 요인은 순차적으로 자기성찰과 내재적 직무만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응 요인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 내재적 직무만족, 전문성을 향상시켜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즉, 직업상담사를 자신의 상담자로 생각하는 자기성찰과 전문성 인식이 직업상담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상담사를 위한 체계적인 유지교육과 슈퍼비전 활성화, 현장체험 공유의 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ladjustment factors on the job performance of counselor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12 career counselors working at institutions of the Employment and Welfare Plus Center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rivate consignment institution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local government job centers, new work support centers, and university Job Plus cent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April 1st to April 26th, 2023 through the in-house bulletin board or e-mail of each institution. The measurement tools used a work environment scale, a self-reflection scale, a professional occupation scale, an intrinsic satisfaction scale, and a job performance sca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ver. 3.3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factors and job performance of career counselors, a significant multi-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which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ism sequentially influence each othe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factors and career counselors' job performance, a significant multi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which self-reflec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sequentially influence each other.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job performance by improving career counselor's self-reflecti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and expertise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maladjustment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counselors with maladjustment facto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career counseling in terms of self-refle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systematic continuing education for career counselors and opportunities to share field experiences.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