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이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이용수  84

영문명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e on Dating Violence Damage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저자명
윤지환 김경미
간행물 정보
『동서정신과학』제27권 제1호, 57~7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 피해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30대 교제 경험이 있거나 교제 중인 남녀 374명에게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데이트폭력 피해,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SPSS Macro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부민감성, 데이트폭력 피해, 자기침묵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 피해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이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자기침묵과 데이트폭력 피해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 피해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자기침묵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거부민감성이 자기침묵을 통해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damage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To do so, 374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been in a relationship or were in a relationship were surveyed and analyzed on rejection sensitivity, self-silence, dating violence damage, and self-effica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Macro bootstrapping were applied to tes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dating violence damage, and self-silence. Second, self-sil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damage.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ilence and dating violence damage.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e through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damage was partially significant. Focusing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self-efficacy, a protective factor, is important in reducing the impa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ating violence damage through self-sil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dating violence damage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prevent it.

목차

서론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환,김경미. (2024).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이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동서정신과학, 27 (1), 57-76

MLA

윤지환,김경미.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이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동서정신과학, 27.1(2024): 57-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