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소수자 상담수련생이 경험한 차별과 억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387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of Sexual Minority Counseling Trainee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윤다영 진명일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27권 제1호, 77~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소수자임을 이유로 겪은 따돌림 경험 및 차별과 억압을 받아온 경험이 성소수자 상담수련생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성소수자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성소수자의 심리적 어려움을 내부자들의 관점으로 제시하는 자문화기술지로 연구하여 성소수자가 어떻게 자신을 수용하고 사회에 속해 가는지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성소수자의 현실을 보여주며, 성소수자의 차별과 억압에 대한 경험이 상담수련생으로서 동질 집단을 위한 옹호 활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억압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일어나는 것임을 알려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바를 시사한다. 첫째, 이성애 중심적인 사회에서 성소수자들이 겪는 따돌림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고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성소수자가 느끼는 차별과 억압을 내부자적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담 장면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소수자에 대한 무지는 성소수자 내담자가 살아가면서 겪는 독특한 경험들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이어지며, 이는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어려움으로 나타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bullying,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experienced due to being a sexual minority on counseling trainees. By analyzing these experiences within a sociocultural context,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llenges faced by sexual minor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exual minorities accept themselves and belong to society by study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sexual minorities with the perspective of insiders. This study holds the following significance: it shows the reality of sexual minorities who are socially marginalized sexual minorities, a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of sexual minorities leads to advocacy activities for homogeneous groups as counsel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gainst sexual minorities occur in a sociocultural context, not in an individual's problem.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bullying and resulting pain that sexual minorities endure in a heteronormative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of sexual minorities from an insider perspective. Third, it is necessar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exual minorities in the counseling scene. Ignorance of sexual minorities leads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unique experiences that sexual minority clients experience in their lives, which appears to be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sympathy for the client in the counseling scen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