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급기반 기능적팀중재(Class-Wide Function-related Intervention Team)의 일반적 특성 분석 및 통합학급 적용 방안 고찰
이용수 138
- 영문명
- Analysis of Atributes and Applicability of Class-Wide Function-related Intervention Team(CW-FIT) in Inclusiv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송주영 백은희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기반 기능적팀중재를 적용한 국외 실험 연구의 특성을 분석,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기반 기능적팀중재를 실행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통합학급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학급기반 기능적팀중재가 소개된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단일 대상 실험 논문 2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 연구 장소는 일반학급이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은 학급기반 기능적팀중재의 1단계 지원만 실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학생의 수업행동인 과제참여행동, 교사의 수업행동인 칭찬과 훈육을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1편의 자폐성장애 학생의 행동 변화를 측정한 논문을 제외하고는 발달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제시한 논문은 없었다. 국내의 경우 학교급, 연구 장소, 종속변인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research studies CW-FIT, to examine attributes and intervention method research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autistic disabilities in the incusive classroom. Twenty-foursingle-subject research published from 2010, when CW-FIT was introduced, to 2023 were analyz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ettings of the studies were mostly general classes. As for independent variables, most of the researches implemented only tier 1 support of CW-FIT. The dependent variablesin researchs were mostly students' on-task behavior in a group, and teachers’ praise and reprimand. 4.5% of research studies includ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participants. One research studies included a student with autism. Few research studies measured the effects CW-FIT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o promote inclusion,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future research studies Also,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diversifying the students age as a participants, and experimental settings as well as other school-wide dependent variables in Class-Wide Function-related Intervention (CW-FI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