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대상 학생 평가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생의 교육 목표 도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를 중점으로
이용수 152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cusing on the Evaluation to Confirm the Degree of Reaching the Educational Goa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송다인 서효정 이해솔 신소은 정현준 이아연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7~5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및 주요 제안사항을 분석하고, 향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총 46편의 문헌을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반적 동향과 교육 환경 및 학교급에 따른 결과를 통합교육 환경과 특수학교환경으로 구분하여 학교급별로 ‘대체평가’, ‘평가조정’, ‘대안평가’, ‘개별화교육계획 평가’,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기본 교육과정’, ‘교사 인식 및 실태’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평가 활동 개선을 위한 주요 제안사항은 ‘평가조정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감대 및 협력 관계 형성’,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특성이 반영된 타당한 평가 체계 마련’, ‘명확한 평가결과 기록 체계 마련’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결론 및 논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major suggestions related to students's with special needs evaluation in the classroom situation,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a legitimate evalu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ology analyzed a total of 46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lis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analysis results were analyzed in seven ways by divid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overall tre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chool level into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and a special school environment. In addition, major proposal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activitie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as ‘forming consensus and cooperation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on evaluation adjustment’, ‘establishing a valid evaluation syste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nd ‘establishing clear evaluation recording systems’, an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based on this.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