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정보 수준과 사회연결망이 노인 혐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15
- 영문명
- The Effect of Digital Information Level and Social Networks on Perceptions of Ageophobia
- 발행기관
-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 저자명
- 김기현 김영춘
- 간행물 정보
-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6권 제1호, 104~12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펜더믹 시기 노인 혐오의 발생과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세대 간 가치관의 변화와 인구 감소 등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라 디지털 정보 수준과 사회연결망이 노인혐오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사회연결망의 매개역할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지역의 만 20세 이상 성인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통계기법을 사용해 자료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정보 수준은 노인 혐오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β=2.283,p<.01), 사회연결망은 노인 혐오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961,p<.05). 또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노인 혐오 인식 관계에서 사회연결망(-.140(p<.05)은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효과 .13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첫째, 소셜미디어에 통용되는 정보가 노화나 노후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정적 언어를 긍정적 단어로 변화시켜 고정관념과 이미지 개선과 온라인 공간에서 소수의 의견이 표출되고 다면적 차원들의 생각들을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세대 간 사회 및 가정 내의 역할변화, 부정적 이미지 개선, 신체적·심리적 노화에 대한 인식교육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회교류 프로그램 확충과 관련 특별법 제정 등 제도화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digital information level and social connectivity affect the perception of elderism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elderism during the pandemic a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changes in intergenerational values and population decline as we enter an ultra-aging society,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onnectivity in this causal relationship.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25 adults aged 20 and over in the G metropolitan area,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geism (β=2.283,p<.01), and social network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geism (β=-1.961,p<.05). In addition,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f social networks (-.140 (p<.05))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perceptions of ageism, but the total effect of .130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irst, the information prevalent on social media should be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language to reduce anxiety about aging and old age, an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stereotypes and images, and to allow minority voices to be heard in online spaces and to accommodate multifaceted idea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oles in society and families between generations, improve negative images, provide awareness educa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aging, expand social exchange programs for community formation, and enact special law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