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ROW 기반 GRIT 증진 진로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126

영문명
Research on GROW-based GRIT promotion career program
발행기관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저자명
고희자 고수연
간행물 정보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6권 제1호, 25~5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GRIT 증진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진로 또는 일상에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매 회기마다 GROW 기반한 G- 목표수립, R-현실점검, O-대안탐색, W-실천의지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를 돕고자 하였으며, 10분 강의를 활용하여 내면의 힘 기르기, 장애물 극복하기, 실행력 기르기의 단계와 맥을 같이 하고자 구성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GRIT 증진을 위한 GROW 진로프로그램에 대한 동기를 높이며 목표 달성을 위하여 마음 챙김명상, 원예 활동, 워크지 활용, 소감 발표하기 등 다양한 활동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GRIT 증진을 위한 GROW는 청소년들이 진로에 대한 어려움과 일상에서 겪는 갈등과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였고 잘 조직화된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다. 이는 대상자들의 특성과 요구, 리즈를 반영하였고 현장 적용 활용의 가능성을 높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과 수용, 진로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목표를 실천하는 GRIT 증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 관련 어려움을 해결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전반에서 성장을 돕는 긍정적 자원이 될 수 있는 훈련∙교육 프로그램이므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GRIT promotion program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ability of young people to set and implement goals in their careers or daily lives. Each session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ages: GROW-based G-goal establishment, R-reality check,O-exploration of alternatives, and W-will to implement. This was designed to help with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work,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and was designed to be in line with the steps of developing inner strength, overcoming obstacles, and developing executive ability using 10-minute lectures. In addition, various activity techniques such as mindfulness meditation, gardening activities, use of worksheets, and presentation of impressions were used to increase motivation for the GROW career program to promote GRIT among youth and to achieve the goal.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W to promote GRIT fully reflected the difficulties youth face in their career paths and the conflicts and demands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was developed according to a well-organized procedure. Thi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needs, and prospects of the subjects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and utilization.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said to be suitable for promoting GRIT, which restores adolescents' self-esteem, promotes positive self-image and acceptance of themselves, resolves career difficulties, and puts goals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program are meaningful because it is a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that not only solves career-related difficulties and strengthens the capabilities of youth, but can also be a positive resource to help them grow in school and social life in genera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프로그램 개발
Ⅳ. 연구방법
Ⅴ. 프로그램의 만족도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희자,고수연. (2024).GROW 기반 GRIT 증진 진로프로그램 연구. 휴먼서비스문화연구, 6 (1), 25-53

MLA

고희자,고수연. "GROW 기반 GRIT 증진 진로프로그램 연구." 휴먼서비스문화연구, 6.1(2024): 2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