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 국가 과학기술 인력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41

영문명
Latent Profile Analysis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신우호 /Shin Woo Ho 1 , 이재은 /Jaeeun Lee 2 , 정보영 /Boyoung Jung 3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5권 제4호, 155~17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과학기술인력의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 프로파일이 개인의 마인드셋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의 교육대상자 340명의 자료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및 JAMOV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차이분석, 그리고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인 진정성, 균형, 도전 파라미터에 따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경력 파라미터 값을 고려하여 ‘혼란 경력태도자’, ‘워라밸중시자’, ‘진정한 도전자’, ‘이상적 경력 몰입자’로 명명하였다. 성장마인드셋(Growth Mindset)을 종속변수로 4개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ANOVA를 통해 확인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의 평균은 ‘이상적 경력 몰입자’,‘진정한 도전자’,‘워라밸 중시자’,‘혼란 경력태도자’ 순으로 높았고, 사후 검정 결과‘이상적 경력 몰입자’와 ‘진정한 도전자’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잠재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고정마인드셋(Fixed Mindset)을 종속변수로 하는 집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상적 경력 몰입자’,‘혼란 경력태도자’,‘워라밸 중시자’,‘진정한 도전자’순으로 높았고,‘이상적 경력 몰입자’와 ‘진정한 도전자’의 차이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자신의 경력에 관심이 적거나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 집단은 상대적으로 성장마인드셋이 부족하며, 균형보다 진정성, 도전을 추구하는 집단은 고정마인드셋이 낮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s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and their mindset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340 trainees of the KIR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using R and JAMOVI programs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latent profile analysis(LPA). The latent profile analysis, conducted on the sub-factors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s - authenticity, balance, and challenge - categorized the subjects into four groups: 'Confused Career Attitude', 'Work-Life Balance Seeker', 'Authentic Challenger', and 'Balanced Career Committer'. The ANOVA results, with the growth mindset as a dependent variable,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The average growth mindset was found in the order of 'Balanced Career Committer', 'Authentic Challenger', 'Work-Life Balance Seeker', and 'Confused Career Attitude'. Analysis of the fixed mindset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a similar trend. The study concludes that groups with less interest in their careers or a strong tendency to seek work-life balance are relatively lacking in growth mindset, while those prioritizing authenticity and challenge over balance have a lower fixed mindse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stud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우호 /Shin Woo Ho 1 , 이재은 /Jaeeun Lee 2 , 정보영 /Boyoung Jung 3 . (2023).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 국가 과학기술 인력의 인식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5 (4), 155-175

MLA

신우호 /Shin Woo Ho 1 , 이재은 /Jaeeun Lee 2 , 정보영 /Boyoung Jung 3 .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 국가 과학기술 인력의 인식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5.4(2023): 155-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