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합방법론을 활용한 전공과목 피어튜터링 성과 사례연구: 만족도와 프로그램 재참여를 중심으로
이용수 2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Outcome of Major Peer Tutoring Program: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민지식 김미진 김도현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5권 제4호, 61~9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혼합방법론(mixed method)을 사용하여 전공 피어튜터링 성과(만족도, 재참여)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참여자 특성과 성과 간 관련성을 파악하여, 추후 유사한 프로그램 운영 시의 개선방안 및 효율성 확보를 위한 제언을 제시함에 있었다. 피어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1, 2단계)를 진행하여 참여자 특성과 성과를 조사하였으며, 질적 방법으로 참여자 인터뷰(3단계)를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2단계에서는 교차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2단계까지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 문항을 구성하여 인터뷰를 통해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한 결과, 높은 만족도와 재참여 비율이 확인되어 피어튜터링 프로그램 성과는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피어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참여자 특성은 성과와는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의 경우 튜터는 ‘동료 도움’, 튜티는 ‘학업적 성과’가 주된 참여동기였으나 이에 따른 성과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피어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양적 조사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추가적인 다른 형태의 동기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피어튜터링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형태는 유지하되, 피어튜터링 진행을 위한 환경 개선, 튜터들의 교수를 지원하는 방향을 지향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tilize a mixed method to assess the outcomes (satisfaction, re-participation) of major-specific peer tutoring program,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and the outcom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and efficiency in future operations of similar programs. For this purpose, Surveys (phases 1 and 2)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to investigate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outcomes, and participant interviews (phase 3) were implemen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Data collected in phase 1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in phase 2, cross-analysis methods were utilized. In phase 3,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up to phase 2,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terpret th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vestigation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rates, indicating that the outcomes of the peer tutoring program were quite excell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utcomes. In term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utors were primarily motivated by 'helping peers,' and tutees by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differences in outcomes according to these motiv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additional forms of motivation that were difficult to detect through quantitative surveys was found In this regard, it was suggested that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form of the program, improvements for the environment to conduct peer tutoring and support for the tutors' teaching compentency should be aimed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peration of peer tutoring program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 국가 과학기술 인력의 인식을 중심으로
- 괜찮은 일자리 지수 변화 궤적 유형화 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괜찮은 일자리 지수를 중심으로
- 기업의 신입 및 경력직 조기퇴사율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SUR 모형을 활용하여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학교 진로교육의 영향
-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 및 적응 경험 탐색: 비서울소재 대학,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 혼합방법론을 활용한 전공과목 피어튜터링 성과 사례연구: 만족도와 프로그램 재참여를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직무만족과 지각된 과잉자격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