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학교 진로교육의 영향
이용수 95
- 영문명
- Changes in Career Maturity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ing and the Impact of School Care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현진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5권 제4호, 129~1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학교 진로교육 참여 및 만족도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패널의 1~8차년도 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시기의 진로성숙도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 시기의 진로성숙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만, 초등학교에서 시간이 멀어질수록 그 상관 강도는 약해진다. 초등학교 시기 진로성숙도 형성의 중요성과 이후 진로교육을 통한 진로성숙도 향상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진로성숙도의 변화는 비선형(초5~중3)-선형(고1~고3)의 비연속 분할 잠재성장모형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었다. 진로성숙도는 초등학교 5학년의 초기치가 높다가 중학교 3학년까지 감소하고, 고등학교 1학년에 다소 높아졌다가 고등학교 3학년까지 낮아지는 변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참여도 및 만족도는 진로성숙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진로상담 및 진로수업보다 진로체험이 진로성숙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진로교육의 질적 제고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changes in career maturity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ing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chool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variables on this. For this purpose, student data from Waves 1 to 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2013 panel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maturity during elementary school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dur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ut the strength of the correlation becomes weaker as time goes by from elementary school. The importance of forming career maturity during elementary school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career maturity through career education later can be confirmed. Second, the change in career maturity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can be best explained by the non-linear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3rd year of middle school) - linear (1st to 3rd year of high school) discontinuous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Career maturity showed a change in that the initial value was high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n decreased until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increased somewhat in the 1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n decreased until the 3rd year of high school. Third, participation in and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had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career maturity. In particular, work experience had a greater impact on career maturity tha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class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s and follow-up research.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 국가 과학기술 인력의 인식을 중심으로
- 괜찮은 일자리 지수 변화 궤적 유형화 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괜찮은 일자리 지수를 중심으로
- 기업의 신입 및 경력직 조기퇴사율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SUR 모형을 활용하여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학교 진로교육의 영향
-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 및 적응 경험 탐색: 비서울소재 대학,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 혼합방법론을 활용한 전공과목 피어튜터링 성과 사례연구: 만족도와 프로그램 재참여를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직무만족과 지각된 과잉자격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동과 에너지 영역 성취기준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 스마트폰 사용 목적이 학업 성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중학생-교사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