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괜찮은 일자리 지수 변화 궤적 유형화 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괜찮은 일자리 지수를 중심으로
이용수 4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jectory of Decent Work Variation: Focusing on Objective and Subjective Decent Work Indices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자경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5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근로자의 괜찮은 일자리 지수를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로 구분하여 년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6차부터 2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과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객관적 괜찮은 일자리 지수는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감소한데 반해 주관적 괜찮은 일자리 지수는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객관적 및 주관적 괜찮은 일자리 변화 궤적에 따라 각각 높은집단, 중간집단, 낮은집단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각 유형에 따라 성별, 학력, 거주지역, 혼인상태의 개인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괜찮은 일자리 지수의 측정에 있어서 객관적 지표와 함께 주관적 지표가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또, 괜찮은 일자리 지수 변화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정책과 코로나19로 변화된 근로환경의 다양화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changes in the decent work index of domestic laborers in Korea by distinguishing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and examining their year-to-year fluctuations. To achieve this goal, data from the 16th to the 25th waves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re used, an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drop in objective decent work indices following the onset of COVID-19, while subjective decent work indices remained unaffected by the pandemic.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change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decent work,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high, middle, and low, each showing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 residential area, and marital statu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the decent work index. Furthermore, it suggests the need for discussions and policy support related to labor market polic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working environments brought about by COVID-19, depending on the type of decent work index chang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 국가 과학기술 인력의 인식을 중심으로
- 괜찮은 일자리 지수 변화 궤적 유형화 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괜찮은 일자리 지수를 중심으로
- 기업의 신입 및 경력직 조기퇴사율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SUR 모형을 활용하여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학교 진로교육의 영향
-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 및 적응 경험 탐색: 비서울소재 대학,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 혼합방법론을 활용한 전공과목 피어튜터링 성과 사례연구: 만족도와 프로그램 재참여를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직무만족과 지각된 과잉자격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완벽주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참여 유형
- 교육학 연구를 위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활용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2013-2024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