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힐링문화의 종교사회학적 의미

이용수  9

영문명
Socioreligious Meaning of Healing Cultur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인경 김형록(Ven. Inkyung Kim Hyung-Rog)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19권, 77~82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힐링 열풍은 스트레스 받고 힘들고 각박한 우리 사회적인 삶의 현장에서 적절하게 기능했고, 많은 이들이 위안을 받았다는 긍정적인 평가 있다. 반면에 힐링은 단지 트랜드일 뿐이고, 진정한 치유적인 기능을 갖질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이런 비판에 직면하면서 대체로 종교계는 힐링문화를 적극적으로 종교체계내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반대로 힐링이 종교를 포섭하는 경향도 대두된다는 시각도 있다. 이런 경향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진 명상, 요가, 기수련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힐링, 영성 혹은 종교를 찾는 이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은 주목해야할 현상이 아닌가 한다. 이런 경향은 기존 종교의 역할에 대한 회의나 반성의 의미를 가진 까닭에 기존 종교는 새로운 영성운동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적 자세가 요구된다고 판단한다.

영문 초록

While there is an affirmative evaluation in regard to healing boom (healing craze) that it has worked appropriately in our stressful, hard and tough social lives, consequently comforting many people,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healing is just one of many social trends, devoid of any truly curing functionality. Faced with this criticism, the religious community generally tends to embrace healing culture positively within the religious system. On the contrary to this, some scholars say there is a tendency whereby healing rather embraces religion. This trend, anyway, sees increasingly more people - especially the young generation - looking for new forms of healing such as meditation, yoga, breathing training as well as spirituality or religion. This phenomenon is worthy of our attention. Eventually this trend means casting an implicit doubt on the existing roles of religion, requiring sort of self-reflection and so the study believes the existing religious community needs to brace for new spiritual campaigns positively.

목차

1. Introduction
2. Healing culture and critical views
3. Stance of religious community viewing healing culture
4.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인경 김형록(Ven. Inkyung Kim Hyung-Rog). (2018).힐링문화의 종교사회학적 의미.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77-82

MLA

인경 김형록(Ven. Inkyung Kim Hyung-Rog). "힐링문화의 종교사회학적 의미."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18): 7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