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니어그램 상담전략 프로그램을 통한 상담사례-부모와의 갈등개선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A Cases of Enneagram Counselling Strategy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이소윤(Lee So-yun)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19권, 9~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내담자의 성격을 깊이있게 알고싶고, 이해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권유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행동특성과 명상상담 전략(인경,2016)을 이론적 배경으로 했다. 방법: 총 6회기로 진행. 1회기 면접과 성격검사, 2회기 대인관계 탐색, 3회기어린시절 경험나누기와 나중심가계도 그리기, 4회기 자아개념과 집착, 5회기 성격역동, 6회기 성장과 본질로 진행함. 결과: “감정이 일어날 때 알아차리기”를 통해 직면하는 방법을 배웠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임, 본인이 원하는 공부를 찾아 열심히 생활하고 있음, 부모님과의 갈등사례에서 가슴답답하고 심장이 빨리 뛰고 불안한 감정을 영상관법을 통해 해소됨. 결론: 에니어그램 상담과 영상관법, 바디스캔이 보편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좋은 방법이 마음이 힘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적극적으로 도울수 있는 기회를 찾아봐야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idea that the researcher had better know and understand the client's personality more deeply.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of Enneagram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meditation counselling strategy. (Ingyeong, 2016) Method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sessions in total: the first one by interviews and personality examination; the second by explor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third by sharing of childhood experiences and drawing of me-centered family trees; the fourth by self-concept and obsession; the fifth by personality dynamics; the six by growth and essentials. Result: The clients learned how to confront emotions through 'becoming aware of them when they arise', and appeared to be able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thoughts. They lived an active life in pursuit of their wanted study and could clear off suffocating excessive anxiety through the IBMM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in the face of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Enneagram counselling, the IBMM and body scan generally had a good effect on most of people. The researcher sincerely wishes this good method can help distressed people and would like to find further opportunity to help them more actively.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상담문제와 상담목표
Ⅳ. 상담결과
V. 결론 : 상담의 평가
Ⅵ.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