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 가장의 양육스트레스 경험: 단일 사례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Parenting Stress Experience of Single Parent A Single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권주희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4권, 53~6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한부모 가장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을 개인적 측면, 어린 시절 경험과의 영향, 자녀와의 관계,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 개인이 갖는 고유한 경험을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서 단일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개인상담을 통한 자료 수집과 축어록을 통한 의미 단위별, 사례별 범주화하는 코딩작업을 거쳤다. 그 결과 한부모 가정이 가지는 양육스트레스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측면에서 ‘자책감과 강박적사고’, ‘부정적 자기 평가와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둘째, 어린 시절 경험은 ‘치유되지 않은 내면 아이와의 만남’,‘동 반 자살에 대한 충동’으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셋째, 자녀와의 관계 측면에서는 ‘자녀의 태도 변화에 대한 당혹감’, ‘불안에 기인한 자녀 양육 방식 의 미숙함’, ‘지도에 잘 따라오지 못하는 자녀’, ‘어른아이가 되버린 것 같은 자녀’를 경험한다. 넷째, 경제적 측면에서 ‘주거 불안과 경제적 어려움’, ‘자녀 교육의 한계’ 경험을 가진다. 다섯째, 사회적 측면은 ‘부정적 인식에 대한 날선 예민함’, ‘한부모 가정은 가정불화, 문제의 아이 콘’, ‘대처행동으로써 단절과 고립 선택’, ‘슈퍼 우먼이 아니면 견뎌내기 힘겨운 삶’의 경험을 가진다. 본 연구는 단일 사례를 통해서 한부모 가장이 갖는 양육스트레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다루며, 개인적인 고유한 경험과 그것의 맥락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개별화된 이해를 도모한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As a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arenting stress experiences of single-parent families in personal aspects, childhood experiences, relationships with children, economic and social aspects. To reveal the uniqu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we adopted a single case study method and went through the coding of data collection through personal counseling and semantic and case-by-case categoriza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word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parenting stress in single-parent families is as follows. First, we experience 'guilty conscience and obsessive thinking' and 'difficulties in negative self-evaluation and emotional control' in personal aspects. Second, childhood experiences experience child-rearing stress with 'meeting with an unhealed inner child' and 'impulsive to suicide with the companion'. Third,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y experience 'confusion about the change in their attitude,' 'the immature way of raising children due to anxiety,' 'the children who don't follow the map well,' and 'the children who seem to have become an adult.' Fourth, we have experiences of 'residential insecurity and economic difficulties' and 'limi t of child education' in economic terms. Fifth, the social side has experiences of 'on the edge of a negative perception sensitivity ', 'single-parent families have family discord, problem icons', 'Choice of disconnection and isolation as coping behavior', 'life that is hard to endure unless it is a superwoma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in depth with the experience of parenting stress of a single parent head through a single case and focuses on personalized experience and its contextual aspects to promote individualized understand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