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알아차림 명상이 정신분열증 환자의자아존중감 빛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영문명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a schizophrenia patient`s Self-esteem and Emotion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이한상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4권, 146~188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복지센터에서 재활을 위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정신분열증환자들을대상으로알아차림 1) 명상프로그램을개발하여, 이를실험처치하고그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독립변인인 알아차림 명상에 대해서는 그 하위영역으로 호흡명상, 동작명상,느낌명상을 구성해 관찰 가능한 기록지를 매 회기 마다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했으며, 종속변인에 대해서는 Rosenberg(1965) 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Gotlib와Meyer(1986), Greenberg와 Alloy(1989) 등이 사용한 우울 및 불안과 연관된긍정적, 부정적 형용사와 John(1988) 이 수집한 정서평가문항, 그리고Strauman(1989 )이 사용한 정서평가문항을 참고하여 이은영 (1991)이 제작한정서평가 질문지를 활용하였다.실험설계는 사전검사, 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된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제 1 과제〉인 알아차림 명상이 정신분열증환자들의 자아존중감을증가시킬것인가라는 과제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 긍정적으로 나타났다.이 같은 결과는 기존의 알아차림 명상에 대한 선행연구를 좀 더 뒷받침해주는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앞으로 알아차림 명상의 대상을 확장시키고 활용할수 있는 범위가 넓어졌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제 2 과제〉인 알아차림 명상이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는 과제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고 있다.이 같은결과로향후 연구의 제한점 및 문제점들을보완해 긍정적인 결과를 위한 연구가 연구자의 몫으로 남게 되었으며 그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spirit of this study, social services and rehabilitation activities for the members of schizophrenia patients who developed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his experimental treatment and more effective for the purpose of that was in progress. Changers for whose Independent variable Mindfulness meditation breathing meditation, movement meditation, and feeling meditation(body scan) observable record whether the data collection sheet was created for each session, for Dependent variable Rosenberg (1965) and self -esteem scale Gotlib and Meyer (1986), Greenberg and Alloy (1989) and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positive and negative adjectives and John(1988) collected from the emotional evaluation questions, and Strauman(1989) refer to this question by using the emotional evaluation Lee, Eun Young (1991) made two emo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used. Experimental design, pre-testing, treatment, post-test order was in progress, a total of 10 research programs conducted throughout the ses- sion are as follows 'No. 1 project' Mindfulness meditation is schizophrenia patients will in-crease their self-esteem issues for the study were positive. These results for the traditional Mindfulness meditation corroborate previous research that more would be determined. And we extend Mindfulness meditation and can take advantage of the target range, drop in the wider sense will say.'No. 2 project' Mindfulness meditation is schizophrenia patients will have an impact on emotional issues for the research is not showing the re-sults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se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the future research complements the positive results were recorded for the share of research studies, it was also likely to see.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용어 정의
3. 연구 문제
II .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및 표집 방법
3. 실험 처치
4. 연구 도구
5.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6. 자료 분석 방법
7. 연구의 제한점
Ⅲ. 연구 결과
1.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영역별 독립변인 변화 결과
2. 정신분열증 환자의 종속변인 변화결과
Ⅳ. 연구문제 검증
Ⅴ. 변화요인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한상. (2009).알아차림 명상이 정신분열증 환자의자아존중감 빛 정서에 미치는 영향.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46-188

MLA

이한상. "알아차림 명상이 정신분열증 환자의자아존중감 빛 정서에 미치는 영향."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09): 146-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