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이용수  11

영문명
A Review on the modern Interpretations of Sati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임승택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권, 34~72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첫째는, 불교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던 그잔의 사띠 개념을 재검토하였다. 특히 ①사띠 개념에 대한 번역 문제, ②사띠가 기능하는 심리적 영역에 관한 논의, ③사띠와 여타의 수행과의 관계문제 등을 주로 다루었다. 전체적으로 이 장은 초기불교 수행론에 관련한 필자 자신의 기존 논지를 보강하는 차원에서 기술하였다. 둘째는, 현대 심리치료자들에 의해 이해된 사띠 개념을 정리하는 형식으로 기술했다. 특히 사띠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그것의 적용 양상을 소개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이 장은 전체적으로 박성현, 김정호, 권석만, 김제성 등의 논문을 재정리한는 차원에서 기술하였다. 그러나 후반부에는 사띠의 효능을 인지적 차원에 한정해서는 안 된다는 필자 자신의 견해를 덧붙였다. 셋째는, 사마타 → 사띠 → 위빠사나라는 위계를 설정했던 마크 옙스타인의 견해를 소개하는 형식으로 노지를 진해하였다. 이러한 위계는 불교 명사의 특징적 측면들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또한 치료적 적용에 있어서도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한편 이 장의 후반부에는 현대의 심리치료에서 언급하지 않는 ‘계율의 준수 문제’ 및 수행의 국면에 따라 달라지는 ‘사띠 운영의 질적 차이’를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I think Buddhist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should complement each other`s weaknesses while highlighting the strengths. Modern psychotherapy based on scientific methodology is expected to offer great help in overcoming the inefficient aspects of traditional meditation. On the other hand, Buddhist medit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for a long period will be able to enhance the endurance of modern therapeutic techniques. And Buddhist literatures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also will be able to play some role in identifying and resolving the potential problems of psychotherapy programs. Through this essay, I attempted interdisciplinary study of Buddhist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Especially, I focused on the concept of Sati which has been acknowledged to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health, and variously interpretated by many philologists and psychiatrists. In relation to Buddhist philologists, I reviewed critically on their discussions about this concept. But in relation to psychiatrist, I emphasized on making introduc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ir diverse aspect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sati. I believe these kinds of work are continuously needed to provide a vision for a new integrative meditation program.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기존의 논의에 대한 재검토
Ⅲ. 심리치료적 입장에서 본 사띠
IV. 사띠 개념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
v.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택. (2009).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34-72

MLA

임승택. "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09): 34-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