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이 시설 청소년의 부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원효 무애춤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The Effects of Movement-Meditation Therapy Program on Negative Affect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Focused on the Wonhyo Mooechum-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상백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권, 108~164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9,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설 청소년들의 부적 정서를 감소시키고자 동양적인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처치 하여, 그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동작명상치료프초그램은 시설 청소년들의 우울수준과 불안수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처치 한 달 후 추후검사 시 친구와 서로 토론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 종합평가서와 보조자의 종합평가서를 분석한 결과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이 우울, 불안해소에 현서한 효과가 있는 것으르 나타났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아동복지시설 K, S, H에 거주하면서, 현재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1세~13세의 남녀 학생 청소년으로 실험에 참여한 인원은 총 39명이다. 본 연구자는 동작명상지료프로그램 적용을 위해서, 집단선정은 실험집단 20명과 대조집단 19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종속변인 측정도구로는 Beck의 우울척도(BDI: Beck Depressive Inventory), Spielberger의 상태 특성 불안척도(STA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를 시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7월 4일부터 9월 7일까지 연구대상 선정, 프로그램개발, 보조자 훈련, 사전검사, 주2회 매회 l시간 30분 씩 4주간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추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 된다. 첫째,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은 시설 청소년의 부적 정서 중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주관적인 평가에 의하면 유연하고 반복적인 무애동작표현과 명상호흡 등을 통해 정서안정에 현저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시설 청소년들이 서로 토론한 결과와 보조자의 평가는 프로그램 중 스트레스 요소(우울, 불안, 친구, 부모 등)을 찾아내어 즉각적인 해소하는 등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periment with a movement-meditation therapy program, and validate the program`s therapeutic effects in order to decrease the negative affect on facility teenagers. As a results, the movement -meditation therapy program appears to effectively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areas. During the follow-up test one month after the experiment, teenagers were instructed to have discussions with friends, and the total evaluation sheets of the discussion contents were analyzed by two assistant staff members. In the results, the movement-meditation therapy program was described as effective for reducing the negative affect (depression and anxiety), releasing str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s 11-13, who currently reside in the K, S, and H children`s welfare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in Gyeonggi-do. In order to apply the movement-meditation therapy program, they were grouped randomly into 20 in the experiment and 19 in the contrast group.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s STAI(Slate Trait Anxiety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4th to September 7th, 2008, in the following order: selection of the study subjects, development of the program, training of the assistant staff members, preliminary examinations, application of the program, after-test examinations, follow-up examinations, and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movement-meditation therap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negative a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Secon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valuation, flexible and repetitive authentic movement expression and meditative breath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liev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while it increas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specially,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among the subjects, it was evaluated that the negative affects. stressors (friend, parents, neighbor etc.), were found immediately.

목차

I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시설 청소년
2. 동작명상치료
3. 용어의 정의
Ⅲ. 동작명상치료프로고램의 개발
1. 프로그램 개발의 배경
2. 프로그램의 구성
IV.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집단상담자
3. 연구도구
4. 연구절차
5. 자료 분석
V. 연구결과 분석
1. 참여자별 부적 정서의 사전―사후―추후 변화
VI. 논 의
1. 동작명상치료가 부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2.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참여 정소년들의 주관적 관점
3. 연구의 제한점
VII.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백. (2009).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이 시설 청소년의 부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원효 무애춤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08-164

MLA

김상백.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이 시설 청소년의 부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원효 무애춤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09): 108-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