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공부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마음지도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2
- 영문명
-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mindful practice experience: focusing on the case of mind instructo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김은진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7권,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지도사들의 마음공부 경험을 알아보고 그 안에 담겨진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마음지도사 교육과정을 이수한 마음지도사 11명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주제 분석 6단계를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지도사들의 마음공부 경험은 “출발: 마음공부를 하는 이유”, “만남: 마음지도사 교육과정의 등록”, “유익: 마음공부에 도움을주는 마음지도사교육과정”, “아쉬움: 더 나은 마음공부를 위한 요구”의 4가지로 범주화되었고, 이 네 가지는 11개의 하위주제, 26개의 의미개념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마음지도사 교육과정을 그 수요 당사자인 마음지도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경험하고 있는지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교육과정의 보완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해 유용한 함의를 전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ndful practice experiences of mind instructors and to derive implications by in-depth exploration of the essence contained in it. Method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in total with 11 mind instructors who completed the mind instructor training course, and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6 steps of thematic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indful practice experience of mind instructors was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start: reasons for mindful practice', 'meeting: enrollment for mind instructor' curriculum', 'benefit: mind instructor training course to help mindful practice', 'request: need for better mindful practice', and these four were classified into 11 sub-themes and 26 semantic concep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how the mind instructors perceive and experience the mind instructor's training course, and delivers useful implications for areas that require supplementation of the training cours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관법을 활용한 학교폭력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의 단일사례연구
- 마음챙김과 상담회기평가간의 자기효능감과 작업동맹의 다중매개효과: 상담자 조사 중심으로
- 영상관법이 분노조절에 미친 영향: 단일사례연구
- 명상의 어려움과 대처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초보명상가를 중심으로
- 마음공부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마음지도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일상의 마음공부에서 ‘멈춤’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사마타 명상과의 관계
- 인성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심심풀이 M3(Meta-Mind Meditation)’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을 중심으로
- 마음일기에 나타난 명상적 글쓰기의 역할과 치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