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상관법을 활용한 학교폭력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의 단일사례연구

이용수  21

영문명
A Single Case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정애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7권, 55~6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일사례 연구로써 영상관법을 실시하여 연구참여자의 학교폭력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로 심층 면접과 가족 면담, 상담축어록, 연구참여자의 명상일지와 현장노트, 편지쓰기,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수용 행동 능력 척도, 사고 억제 척도, 용서 척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관법의 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교 폭력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의 대한 질적인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영상관법 과정을 통한 질적인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이상행동으로 따돌림과 괴롭힘의 대상이었던 참여자는 침투증상과 회피 증상, 생각과 기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각성과 반응의 변화 증상을 경험하였고, 그 원인을 3가지로 분류하면, 개인적으로는 자아정체성, 가족적으로는 양육방식의 심리적 통제, 의사소통 단절, 상호작용에서 오는 갈등이 있었으며, 심리적으로는 비합리적 신념으로 자기방어, 악몽으로 인한 무기력감, 타인의 평가에 예민을 보였다. 변화과정에서는 첫째, 친구들이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을 알아차렸고. 둘째 상처받지 않으려고 자기 방어를 한다는 것을 자각했으며, 셋째, 분노와 슬픔의 감정을 느끼고, 넷째 내재 된 불안을 발견했으며, 다섯째 무감각한 자아상과 비현실감을 체험하고 마지막으로 타인의 평가에 예민한 자신을 알아차리면서 변화되는 경험을 하였다. 그에 따른 변화요인은 영상관법을 통한 외상 경험, 명상일지를 통한 알아차림, 편지쓰기로 자신을 성찰하면서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비록 단일사례연구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갖지만 학교폭력 외상후 스트레스의 변화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s there a change in the post-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by conducting a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as a single cas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family interviews, counseling vocabulary, meditation journals, field notes, letter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scales, acceptance behavioral measures, accident suppression measures, and forgiveness measur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of the RIM, the qualitative change process of the post-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change process through the RIM process, participants experienced infiltration, avoidance, negative effects on thoughts and moods, and changes in arousal and response. In the process of change, first I realized how much I wanted my friends to know. Second He's aware that he's defending himself not to be hurt third, Feel the emotions of anger and sadness, fourth I've discovered the inherent insecurit, Fifth experience insensitive self-image and unrealistic feeling, and finally I experienced a change while recognizing myself sensitive to other people's evaluations. The factors of change accordingly showed a change as they reflected on themselves through trauma experience through RIM, recognition through meditation journals, and letter wri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 in post-traumatic stress of school violenc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 single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애. (2022).영상관법을 활용한 학교폭력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의 단일사례연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55-68

MLA

김정애. "영상관법을 활용한 학교폭력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의 단일사례연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2): 5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