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원어민 영어교사의 학교생활
이용수 22
- 영문명
- School Lives of the Native English Teacher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정훈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2권 제2호, 5~4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원어민 영어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교사로서의 삶을 질적연구를 통해 드러내는 데 있다. 과거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원어민 교사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그들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연구들 대부분은 원어민 교사에 대한 한국인 교사나 학생들의 인식조사, 혹은 원어민 교사 활용의 효과, 문제점 등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가르침과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없이, 그들과 관련한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은 현상의 표면 만을 읽을 뿐이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원어민 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들과 관련한 교육정책 혹은 다른 교육 주체들과의 관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ver the last a decade, the number of native English teach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cently a lot of studies about native teachers have been conducted but almost all of the studies focused on what Korean teachers or students think of native teachers or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aching. That is to say, all the studies were based on Korean perspectives. I do believe that this approach didn't see the real situations that native teachers experience or how they think. The reason why native teachers' perspective is important is that the secret of teaching is hidden in the depth of the teachers' normal life. To see the real world we have to try to listen to their voice. With this purpose, I chose the Bricolage method combined with autoethnography, and narrative with three participants of mine. I collected the data from group and personal in-depth interviews, personal essays, and observation. During this process, I found unpredictable and surprising results about certain themes in their lives. First of all, the native teachers think that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irrational and rigid and they gave many reasons why. Secondly, they are struggling with their lives in Korean schools. They have a lack of guidance, cooperation, consideration from their co-workers and the school, and face language barriers and the closed culture of Korea. Thirdly, they work as real teachers but they are not considered and respected as such in their school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한국 원어민 교사들의 내러티브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