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 입문서’에 대한 단상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조대훈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2권 제2호, 155~16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0년 전만 하더라도 ‘다문화’ 개념은 한국 사회와는 상당히 동떨어져 있는 이국적인 용어였다. 교육과정이나 교과교육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나 익숙했던 ‘다문화’는 현재 각종 정부 부처와 기관의 정책에 등장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은 21세기 한국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변화를 단적으로 상징해 주는 대표적인 신조어인 셈이다. 비록 한국 사회가 아직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의 단계에 도달한 것은 아니지만, 인종적ㆍ민족적ㆍ문화적 다양성이 더욱 고조되면서 우리 삶에 가져올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몸풀기 운동은 웬만큼 끝마쳤다는 생각이 든다. 교육 연구 공동체 안에서도 최근 5년 동안 다문화교육 연구로 분류될 수 있는 연구물(예: 현장 실태 조사, 교수 모형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꽤 많이 축적되고 있는 점은 무척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문화 열풍 속에서 필자는 적지 않은 공백을 느꼈었다. 사범대학에서 교실수업과 교사교육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다문화교육의 핵심 이론과 지식에 대하여 소개하고, 더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법을 가르치는데 유용한 국내 전문도서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었다. 최근 몇 년 사이에Banks(2007), Bennet(2006), Sleeter와 Grant(2007) 등과 같은 서구 다문화교육 전문가들의 주요 저서가 한글로 번역되어 보급되기 시작하였지만, 한국적 다문화주의를 지향하며 국내 학자들에 의해 집필된 본격적인 다문화교육 입문 도서는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가 우연한 기회에 접하게 된 『다문화교육 이해』(저자: 구정화ㆍ박윤경ㆍ설규주, 2009년)는 이러한 공백을 메워줄 다문화교육 입문서라고 판단된다. 요약하면, 필자의 본 리뷰는 “좋은 입문서의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다문화교육의 이론적ㆍ실천적 접근 방향을 안내하는 지침서로서의 성격을 감안하면서, 필자는 본 도서의 주요 구성과 특징을 간략히 소개한 후, 교사교육과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몇 가지 논의 사항을 저자들에게 제안하는 방식으로 리뷰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책의 주요 구성과 특징
Ⅱ. 저자들에게 던지는 몇 가지 질문
Ⅲ.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