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민속마을형 박물관의 지속가능성 연구 -초가지붕 이엉이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6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Folk Village Museum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Focusing on thatching thatched roofs-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나형남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5호, 177~2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민속마을형 박물관이라는 사례 제시와 그에 속한 박물관 공동체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여러 민속마을의 현실에서 비롯하였다. 기후변화에 직면할수록 전통지식의 지속을 위한 논의가 필요한데, 특히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하지만 초가지붕 이엉이기라는 전통지식과 경험의 전승은 미비한 상황이다. 또 기후변화라는 문제와 함께 전승의 단절이 겹치면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현대적인 방법이 가미된, 다양화 현상도 발생한다. 초가지붕 이엉이기의 지속을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공동체 운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해 민속마을형 박물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이를 마을형태의 구조를 자연적/인공적으로 형성하는 야외박물관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민속마을형 박물관은 마을 공동체를 유동적인 유기체와 같이 운영된다. 박물관에 소속된 학예사는 마을 공동체와 꾸준히 소통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력자 역할을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d the case of a folk village-type museum and the role of the museum communit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reality of various folk villages that cannot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discussions are needed to continue traditional knowledge, especially active participation by local communities. However,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atched roofing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as the issue of climate change overlaps with the disconnection of transmission, a diversification phenomenon occurs in which modern methods are added for efficient management. In order to continue the thatched roofing,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ommunity from a new perspective. Therefore, for this study, the term folk village-type museum is used and it is defined as an outdoor museum that naturally and artificially forms a village-type structure. The folk village-type museum operates the village community as a fluid organism. The curator belonging to the museum steadily communicates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acts as an assistan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기후변화 위기에 직면한 초가지붕의 문제
Ⅲ. 마을 공동체의 현재와 박물관의 역할
Ⅳ. 민속마을형 박물관과 공동체의 대응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굴유물 고밀도 전시의 성과와 의미
- 사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공공적 역할에 관한 연구 -우민아트센터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예술문화 분야에서의 메타 아카이브(Meta Archive)
- 노동의 기억과 공립석탄박물관의 공적 재현에 관한 연구
- 박물관 도슨트의 재개념화를 위한 역사적 고찰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민속마을형 박물관의 지속가능성 연구 -초가지붕 이엉이기를 중심으로-
- 지역 사립박물관의 박물관 공동체에 관한 고찰: 2020-2022년 철박물관 프로젝트 사례를 통한 실행자의 질문을 중심으로
- 독재정권 이후의 추모 박물관 - 칠레 인권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관한 연구
-
대중의 기억을 전시하는 내러티브 뮤지엄 -
의 사례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