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굴유물 고밀도 전시의 성과와 의미
이용수 50
- 영문명
- The Achievements and Meaning of High-Density Exhibition of Excavated Artifacts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이광표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5호, 51~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0년 이후 발굴유물의 고밀도 전시가 확산되면서 국내 박물관 전시의 주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이 논문은 최근 10여 년 동안 전개된 발굴유물 고밀도 전시의 흐름과 특징, 성과와 의미 등을 고찰 했다. 이를 위해 2010년 이후 지금까지 진행된 대규모의 발굴유물 특별전 10건을 비롯해 모두 14건의 전시를 분석했다. 그 결과, 발굴유물 고밀도 전시는 점점 확산되면서 창의적인 방식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① 전시 방식의 변화 ② 유물에 대한 이해 ③ 수용자와의 관계의 측면에서 그 효과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고밀도 전시는 전시장을 수장고 형식으로 꾸미고 발굴 당시 상황을 재현하는 등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전시 방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낯선 전시 방식은 전시 콘텐츠와 관람 내용의 변화를 가져왔다. 발굴유물을 새롭게 만나고 원래의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발굴유물의 의미를 관람객과 깊이 있게 공유하는 과정이었다. 요약하면, 고밀도 전시는 ‘유물의 개방과 공유’, ‘전시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성찰’을 현장에서 구현한 새로운 전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ince 2010, high-density exhibitions of excavated artifacts have spread, making it a major trend in domestic museum exhibitions.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flow, characteristics, achievements, and meanings of high-density exhibitions of excavated artifacts developed over the past decade. To this end, a total of 14 exhibitions were analyzed, including 10 large-scale special exhibitions of excavated artifacts that have been held since 2010.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density exhibition of excavated artifacts is gradually spreading and intensifying in a creative wa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effects and meanings of high-density exhibitions were examined in terms of ① drastic changes in the exhibition method ② rediscovery of artifacts and restoration of context ③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First, high-density exhibitions brought innovation in the way of exhibition. Second, it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original context and meaning of the representative artifacts. Third, these attempts began with the intention of sharing the meaning of excavation artifacts in depth with visitors.
Therefore, a high-density exhibition is an exhibition that embodies activ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viewers).
목차
Ⅰ. 머리말
Ⅱ. 국내 고밀도 전시의 전개 양상
Ⅲ. 발굴유물 고밀도 전시의 효과와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굴유물 고밀도 전시의 성과와 의미
- 사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공공적 역할에 관한 연구 -우민아트센터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예술문화 분야에서의 메타 아카이브(Meta Archive)
- 노동의 기억과 공립석탄박물관의 공적 재현에 관한 연구
- 박물관 도슨트의 재개념화를 위한 역사적 고찰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민속마을형 박물관의 지속가능성 연구 -초가지붕 이엉이기를 중심으로-
- 지역 사립박물관의 박물관 공동체에 관한 고찰: 2020-2022년 철박물관 프로젝트 사례를 통한 실행자의 질문을 중심으로
- 독재정권 이후의 추모 박물관 - 칠레 인권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관한 연구
-
대중의 기억을 전시하는 내러티브 뮤지엄 -
의 사례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