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ogic of Transcendence : Moral Inversion
이용수 0
- 영문명
- Logic of Transcendence : Moral Invers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John Bryant
- 간행물 정보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제14권 제1호, 49~5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ral inversion derives from the logic of transcendence. Any statement said of whatever is transcendent implies its own negation. Our moral actions and reactions always transcend us as individuals. Morality is personally transcendent, and so moral inversion is implied. Philosophical psychology identifies certain schizophrenic characteristics of the minds of morally inverted people. Splitting, doubling and brutalization characterize morally inverted ethical cognition: making decisions based on simple associations with too few categories for reaching a rational conclusion. Arundhati Roy observes, "Human civilization means nothing to the monsters who run the world." What happens in the minds of the "monsters who run the world"? is described in Isaiah 5:20, and my essay is an analysis of this phenomena.
목차
IDENTIFYING THE CENTRAL QUESTION
ELEMENTS OF THE QUESTION: ELABORATING THE REGION OF MEA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RALLY INVERTED INDIVIDUALS
OVERT AND COVERT COERCION
CORRECTION OF MORAL INVERSION
SUMMARY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framing"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Technique: Turning a Perceived Inability into an Asset
- Problem Solving Style :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Using Individual Differences
- Using Dialogue to Inculcate Scientific Inquiry in Gifted Students
- Logic of Transcendence : Moral Inversion
- Collective and Democratic Creativity: Participatory Research and Design
- A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Aggressive Children
- A Reflective Conversation with Belle Wallace
- The Multiple Menu Model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Curriculum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