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sing Dialogue to Inculcate Scientific Inquiry in Gifted Students
이용수 0
- 영문명
- Using Dialogue to Inculcate Scientific Inquiry in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Tock Keng Lim
- 간행물 정보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제14권 제1호, 29~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cientific inquiry would provide the gifted with an intellectual framework to integrate the study of science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We need to teach gifted children to be reflective and to inquire, such that they will be able to inquire after and locate the knowledge they require. By using the Socratic and discussion methods as teaching tools,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can be used to explore and integrate subjects in the curriculum. It requires well trained teachers to implement, teachers who are steeped in the Socratic method of instruction and who possess not only in-depth knowledge about one field of inquiry but also have the capacity to make appropriate connections to other disciplines as well. This paper focuses on the use of Socratic inquiry in science lessons. Excerpts of a transcript of a demonstration lesson are included.
목차
INTRODUCTION
SOCRATIC INQUIRY
SOCRATIC INQUIRY IN THE CLASSROOM
DIALOGUE IN SCIENTIFIC INQUIRY FOR THE GIFTED
TRAINING OF TEACHERS
WHAT CAN TEACHERS DO?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framing"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Technique: Turning a Perceived Inability into an Asset
- Problem Solving Style :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Using Individual Differences
- Using Dialogue to Inculcate Scientific Inquiry in Gifted Students
- Logic of Transcendence : Moral Inversion
- Collective and Democratic Creativity: Participatory Research and Design
- A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Aggressive Children
- A Reflective Conversation with Belle Wallace
- The Multiple Menu Model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Curriculum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