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HSSKC) 타당화 연구
이용수 186
- 영문명
- Validating the Happiness Scale for School-aged Korean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조성연 신혜영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3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appiness Scale for School-aged Korean Children (HSSKC)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190 students (91 boys, 99 girls) in the 4th and 5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included the 29-item HSSKC (Choi et al., 2009), the School Adjustment Scale (SAS; Joe, 2014), and the Children’s Daily Hassles scale (CDH; Kim & Park, 2006). The HSSKC was confirmed and supported the construct of six factors: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school life, after-school activities, general liv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eds, along with 29 items on the lines of the HSSKC (2009). Inter-cor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HSSKC with those of criterion measures were validated by ratings from the SAS and CDH.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sub-factors of the HSSKC (Cronbach’s α) ranged from .69 to .87. Thus, the six-factor structure of the HSSKC was appropriate for the assessment of happiness among school-aged Korean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