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고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관점에 기반한 경로당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1,335
-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super-aged people using Senior Centers on successful ageing and suggestions of super aged people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Center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진주아(Jin, Jua) 유영림(You, Yonglim)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3권 제2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고령 노인이 근거리에 인접한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 참여 활동을 통해 연구참여자가 경험하는 성공적 노화를 이해하고 그들이 제안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실천과 정책 발전방안을 초고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관점에 기반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M시와 H군, M군 3지역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Stake(1985)의 질적사례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경로당 참여 활동을 통해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이 경험하는 성공적 노화는 ‘활기 있는 삶의 공동체를 통해 주체적이고 기능적인 장수를 누리는 성공적 노화’라는 상위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적 노화를 이루기 위한 연구참여자들의 실천적 제안은 ‘초고령자들을 위한 경로당의 규모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기능과 지역공동체 센터 기능 확대 및 확장’이라는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접근성이 낮은 초고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 근거리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을 더욱 활성화할 것을 제안하였고 초고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 경로당을 지역사회복지 통합서비스센터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urposed to understand the successful ageing experienced by super aged people through activities using Senior Centres which are social welfare facilities placed in near their residences. also,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suggestions of super aged people for Senior Centers development in social service practices and policie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which is presented by Stake (1985).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 super older people who were over 80 aged people living in M city, M-gun, H-gun in Julanam-do. They had an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The Following 2 research themes were generated from the data analysis. First, super aged people could achieve successful ageing with functional, self-directed, and longer life in vigorous living community constructed in Senior Clubs. Second, super older people suggested to expand social welfare services and enlarge the function of Senior Cent res as local community cent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ed to activate the Senior Centers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 super aged people who have lower level of social activity for successful ageing and develop Senior Centers as a central service center interpreting community welfare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