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hanges in Childcare Staff’s Perceptions Following Improvements in Teacher-to-Child Ratios: Focusing on Daycare Center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강하라 김민주 임현정 조수진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1권 제4호,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ildcare staff(directo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daycare center operations following improvements in teacher-child ratios.
Methods: A total of 449 directors and 424 teachers from daycare cent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survey assessed multiple aspects, includ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implementation of childcare curricula, child development, ommunication with caregivers,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childcare professionals.
Results: Challenges related to low enrollment rates were identified. After improvements in teacher-child ratio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child interac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hild development, depending on daycare center type and enrollment rate. Reported positive operational changes included higher-quality interactions, stronger support for play, and fewer safety inciden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ed challenges associated with low enrollment and emphasized staff members' positive perceptions of improved teacher-child ratios in the context of forthcoming ECEC(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egration. The findings offer meaningful insights for shaping future policies on teacher deployment within a unified system.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개방적 놀이재료의 교육적 의미: 1세 반 영아의 경험을 중심으로
- MZ세대 보육교사의 갈등관리전략이 조직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아버지의 위험감수놀이 허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놀이참여 태도의 매개효과
- 가구 특성 및 지역사회 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주관적 평가가 후속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