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례관리 현장의 빅데이터-ICT 활용 경험과 과제
이용수 341
- 영문명
- Big data-ICT usage awareness and experience in Case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민소영(So-Young Min) 장건우(Keon-woo Jang)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3권 제2호, 47~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ICT가 사례관리 제공체계 내에서 어떻게 결합 및 연계될 수 있는지,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대와 우려는 무엇인지,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복지기관의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빅데이터와 ICT 결합에 거는 기대’, ‘빅데이터 활용의 한계와 우려’, ‘시스템 환경 개선방안’, ‘의미 있는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 방안’의 4가지 중심 주제와 12가지 하위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의 특수성 이해, 특정 집단의 욕구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 개발, AI/ML 활용한 지속적인 알고리즘 개발 및 평가 연구 수행,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발된 기준을 참고 수준으로 인식 필요, 데이터 신뢰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 지원과 정보 전문 역량 지원, 정보 오류 최소화 및 정보 수집의 효율화 추구, 시스템 환경 개발 등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big data and ICT can be combined and linked within the case management providing system, what expectations and concerns may appear in this process, and what we should prepare for.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eld workers of public and private welfare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main themes and 12 sub-themes have been derived: ‘Expectations for the combination of big data and ICT’, ‘Limitations and concerns about the use of big data’, ‘Strategies to improve the system environment’, and ‘Ways to collect and utilize meaningful big data’. Suggestions were mad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case management, develop a standardized tool to measure the needs of a specific group, continuously develop algorithms using AL/ML and conduct evaluation studies, consider the standards developed through big data analysis as a reference level, build the systematic support for data reliabilit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 competency, pursue the minimization of information error and the efficiency in information collection, to develop the system environmen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