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정책의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460
- 영문명
-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Youth Poli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문성호(Moon, Sung Ho) 노지혜(Noh, Ji Hye) 정한별(Jung, Han Byul)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3권 제2호, 109~1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청소년정책의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연구수행과 정책수립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를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소년정책 논문 251편을 대상으로 기초통계분석을 하였고, 키워드 121개를 대상으로 중심성, 응집성, 구조적 공백을 확인하는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첫째, 논문의 발행연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단위에서 큰 편향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청소년정책 지식구조에서 ‘정책평가’와 ‘청소년복지’, ‘청소년교육’이 핵심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 네트워크는 사회현상과 실천현장(G1), 청소년활동과 예방정책(G2), 청소년교육, 자립 및 해외 청소년정책(G3), 청소년문제와 보호, 권리(G4), 청소년참여와 다문화청소년(G5)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구조적 공백 키워드인 ‘위기청소년’은 네트워크 안에서 교량 역할을 하면서 다른 주제들이 가진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향후 연구의 과제는 지속적이고 균형적인 연구수행을 위한 지원의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의 시도, 연구가치가 높은 주제의 적극적 발굴, 간학문적 연구를 통한 지식구조의 확장, 구조적 공백을 활용한 연구의 효율성 증대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 연구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정책과 실천영역을 위한 기초자료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search trends of youth policy by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area. To achieve the purpos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51 youth policy articles,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121 keywords to analyse centrality, cohesion, and structural hole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 major partiality was found in the year of publication, subject, research method, and unit. Second, it was found that ‘policy evaluation’, ‘youth welfare’, and ‘youth education’ were the main keywords in the youth policy knowledge structure. Third, the sub-network was composed around social phenomena and practice sites(G1), youth activities and prevention policies(G2), youth education, self-reliance and overseas youth policies(G3), youth problems, protection and rights(G4), youth participation and multicultural youth(G5). Fourth, the structural hole keyword ‘youth at risk’ functioned as a bridge within the network and efficiently connected the information of other topics. The future research tasks were proposed based on major research results. They were expansion of support for continuous and balanced research, conduct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scertaining valuable topics, expansion of knowledge structure through multidisciplinary study, and increased efficiency of research using the structural hole keywor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youth policy research and ultimately promotes the accumulation of basic data in the policy and practice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