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교대근무자의 수면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152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hift Workers’ Sleep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이연화(Lee, Yeon Hwa) 양영란(Yang, Young Ran)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1권 제3호, 125~1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to synthesiz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 workers’sleep in Korea.
Methods: A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ree electronic databases using keywords such as “shift work” or “rotation work” and “sleep”, with sleep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17 papers were reviewed.
Results: The design of those 17 studies was analyzed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The most commonly measured characteristic was quality of sleep, whereas the others were sleep disturbance, sleep efficiency, and sleepiness. The study outcome variables were job-related factors, mental health, wellness, stress, fatigue, and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The results inform sleep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improvement in shift workers’working condition.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