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bD(Understanding by Design)를 적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네트형 게임 단원 개발
이용수 185
- 영문명
- Development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Net-type games Unit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승용(Kwon, Seung-yong) 한남익(Han, Nam-ik)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4권 제2호,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UbD를 적용하여 체육과 경쟁 영역 네트형 게임(뉴스포츠) 단원을 개발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UbD의 3단계절차, 1단계‘바라는 결과 확인(Desired Results)’, 2단계‘수용 가능한 증거(Assessment Evidence)’, 3단계‘학습경험과 수업 계획(Learning Plan)’의 순서에 의하여 체육과 네트형 게임 단원을 설계하였다. 첫째, 1단계‘바라는 결과 확인’템플릿을 완성하였다. 경쟁 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본질적 질문, 핵심 지식과 기능을분석하였다. 둘째, 2단계‘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단계에서는 UbD의 평가 개념을 적용한‘GRASPS’요소를 이용하여 1개의 수행과제와 루브릭을 개발하고, 기타 평가방법으로 자기평가, 동료평가, 구술평가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3단계‘학습경험과 수업 계획’단계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을 16차시로 구성하였으며‘WHERETO’요소를 활용한학습 경험과 수업을 계획하였다. 넷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평가-수업이 일관성을 가지며 뉴스포츠 주제를 적용한‘프리테니스’단원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UbD를 활용하여 체육 단원을 설계한 결과 체육 교과의 지식의 구조를 이해하고 다양한 평가와 수업 설계의 전문성 및 재구성 능력을 향상시켜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할수 있도록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다양한 주제를 접목한체육 교과를 운영할 수 있는 예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 to desig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unit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In this study, based on the 2015 revised elementat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three-stage of UbD, the first is desired result, the second is Assessment Evidence, and the third is Learing plan designed in order. First, desired result confirmation template was completed.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ition were analyzed, and essential questions, core knowledge and skills were analyzed. Second, one performance task and an analytic scoreing rubric were developed using the‘GRASPS’to which the UbD evaluation concept was applied, and self-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oral-evaluation were presented as various evaluation methods. Third, learning plan were composed of 16 sessions, and learning plan were planned using the‘WHERETO’. Fourth, the ‘Free Tennis’ unit was developed with a new sports theme with consistent achievement standards-evaluation-classes. As a result of designing a physical education unit applying UbD, practical and specific materials were presented so that students could conduct a class that could satisfy them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and reorganization ability of various evaluations and unit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example material that can operate a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various them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UbD(Understanding by Design)를 적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네트형 게임 단원 개발
- 대학생의 비교과 참여 경험에 대한 성찰 분석 :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중심으로
- KSL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 수업 방안
- IBDP 내부평가 기반 수학과 수행평가 개발 및 효과
- The Effect of Dictogloss Using Integrative Receptive Language Skills : Focusing on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온라인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