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온라인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15
- 영문명
- The online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부은주(Boo, Eun-joo) 백아롱(Beik, Ah-r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4권 제2호, 71~9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온라인 수업 참여 경험을 분석하여 온라인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및 상호작용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8명의 상담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진술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학습 및 성과관리 측면에서 온라인 수업에잘 적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의 효과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존재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낮은 수업 실재감과 장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피로감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이 적절한 장소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인터넷연결이 불안정할 경우 온라인 수업 참여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들은 시간 및 공간 선택에서 자율성을 느꼈지만 발언에 대한 부담감과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 및 학습 동기 증진을 위한 연구의 근거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nline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to explore effective online teaching, learning, and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eigh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were interviewed, and their statement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dapted well to online classes in terms of their learning and performance management. However, the effects of online classes includ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Second, learners experienced a lack of teaching presence and suffered from fatigue when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es. Third, the efficiency of online class participation diminished when learners could not find an appropriate place for their learning or the internet connection was unstable. Fourth, although learners felt autonomy in deciding when and where to lear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beginning a conversation and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plored learners' experiences for the enhancement of interaction and motivation in onlin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UbD(Understanding by Design)를 적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네트형 게임 단원 개발
- 대학생의 비교과 참여 경험에 대한 성찰 분석 :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중심으로
- KSL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 수업 방안
- IBDP 내부평가 기반 수학과 수행평가 개발 및 효과
- The Effect of Dictogloss Using Integrative Receptive Language Skills : Focusing on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온라인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