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effects of art activity on aggression in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2권 제3호, 141~1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품행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미술활동을 실시하여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 아동에게 사전․사후에 실시한 공격성 검사에 대한 비교를 하였으며, 회기별 관찰을 통한 공격적 행동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첫째,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신체적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술활동 회기가 경과함에 따라 다른 아동을 때리거나 약 올리고 시비를 거는 행동, 욕을 하며 물건을 집어 던지는 것과 같은 공격적 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언어적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면놀이나 자유화와 같은 여러 미술 활동을 통해 내재된 부정적인 감정이 자연스럽게 표출되어 불만을 해소하면서 언어 표현이 부드러워졌으며 더불어, 타 아동들과의 마찰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셋째,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간접적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술활동 회기가 경과함에 따라 서로 격려하고 공감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물건을 던지며 짜증을 낸다거나 거부하는 태도 대신 상대방을 배려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위해 적절하게 행동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rt activity used on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showing aggressive behavior. The case study involved three boys between the ages of 9 and 10 years old with conduct disorder.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s of 16 sessions and was performed 1hr per day twice a week. It was used for children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to manifests the sentiments which becomes hundred million pressur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art activity with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And the attack scale(BDHI)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f art activity. The process of the art activity was analyzed through the verbatim of the activity process, the observations on the children's behaviors and the symbols of the children's work. The result is as follows : First, The art activit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physical aggressive behavior. Second, The art activit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verbal aggressive behavior. Third, The art activit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After the art activity program children did not display any physical nor verbal abuse amongst others. Every session activity showed positive trends in aggressive conduct. After the program children were able to get along well and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자아존중감․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지도가 학습부진아동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과 가정폭력의 매개역할
- 생모와 이별한 5세 남아의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의식의 탄생과 분화
- 긍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위한 미술활동 중심의 치료놀이 사례
-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