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이용수 42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Sand Play Therapy for young children who have symptoms, the depression, anxiety, and the withdrawal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2권 제3호, 85~1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래놀이치료는 총 15회기로 유아 3명을 각각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아동의 행동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전․사후에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의 모래상자에서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기술하였고, 사회적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해 언어적 의사표현, 질문하기, 제안하기, 지시하기를 회기별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집단 유아의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의 사후검사 결과는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 유아는 증가하였다. 둘째, 자아개념의 경우 실험집단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후 모든 하위 영역에서 자아개념이 향상되었다. 셋째, 일상적 스트레스의 변화에서는 사후검사 결과 감소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능동적인 대처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유아의 사회적 행동의 변화에서는 적극적 의사표현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여 자신을 통합해 나가는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ed that I practiced the sand play therapy to reduce the young children's unadaptable behavior whose young children have symptoms, the depression, anxiety, and the withdrawal behavior, analyzed the effects. I practiced that the sand play therapy was checked up to each three young children individually, twice a week in 40 minutes in the total 15 times. I qualitatively analyzed K-CBCL(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self-concepts, the ordinary stress, the coping way of the ordinary stress by measuring them on prior and post to look into changes in the young children's behavior. I gave an account of analyzing the course of young children's changes in the sand-box and compared verbal expressions, making questions, suggestions, instructions by measuring them on a term. With regard to study results, Th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young children's changes of the depression, anxiety, and the withdrawal behavior was reduced, but the controlled group was increased. The second, in a case of self-concepts, after the sand play therapy, the concept of themselves was improved. The third, in changes on the common stress after the post-examination was decreased, in addition, the coping way of the stress was changed the active coping. The fourth, in changes of young children's social behavior, expressions of instructions are increased. This study shows the way of the remedy for young children who have symptoms, the depression, anxiety, the withdrawal behavior and have an chance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sand play therapy which can unite oneself by exposing the restrained emo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자아존중감․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지도가 학습부진아동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과 가정폭력의 매개역할
- 생모와 이별한 5세 남아의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의식의 탄생과 분화
- 긍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위한 미술활동 중심의 치료놀이 사례
-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