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on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2권 제3호,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의 고립아동이다. 선정방법은 교사로부터 고립아동의 특성을 보인다고 의뢰된 아동 18명 중 사회 정서적 고립검사를 실시하여 100.96점(M+1SD) 이상, 상위 33%에 해당하는 6명의 아동을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명씩 배정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은 고립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은 고립아동의 학급 내 교우관계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이다. 본 프로그램은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친구와 대화하고 서로 도움을 주어 긍정적 또래 지지를 받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놀이의 치료적 요인 중 억압된 감정 표출과 정화, 긍정적 정서 인식 등에 중점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은 고립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켰다. 둘째,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은 고립아동의 학급 내 교우관계 행동을 증진시켰다. 따라서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이 학급 내 고립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a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improves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th year isol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 of 18 students who, the teacher sai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students, six children whose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scores were above 100.96 point (M+1SD) or within the highest 33%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is the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Second, is the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behaviors in the class? The program focused on leading children to receive positive supports from peers through helping and talking with peer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Besides, the program focused on some of the therapeutic factors of play, which were the expression of suppressed emotions, the purification of emotion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improved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Second, the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enhanced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behaviors in the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lay-based peer supportiv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isolated students' friendship relations in the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활동이 품행장애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자아존중감․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지도가 학습부진아동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과 가정폭력의 매개역할
- 생모와 이별한 5세 남아의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의식의 탄생과 분화
- 긍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위한 미술활동 중심의 치료놀이 사례
-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 놀이 중심의 또래 지지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