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래상자놀이가 불안정 성인애착 어머니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Influence of sand tray play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 insecure adult attachment mother's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서영주(Youngju Seo) 김현주(Kim, Hyun Ju)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9권 제1호, 39~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mother's by sand tray pla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2 mothers with insecure attachment in a preliminary testing. Both mothers had children with insecure attachment in N Child-family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Gyoungsangnamdo. The sand tray play is the counseling media, and McAdams’ narrative psychology was applied. Each program lasted for 50 minutes, which includes making sand tray, listening, and cleaning. Moreover, the program was held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ly, sand tray play reduce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xiety, depression in insecure adult attachment mother's. Secondly, mothers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were led to the realization of their childhood experience's meaningfulness through sand tray play, and small subject and eight subject-matter of the four sub-categories of 20 is extracted, accepted these realizations. Even though this study shows sand tray play has positive influence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mother's, further study is required, since this case study only included a small number of experimental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내재화 문제를 가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
- 놀이중심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게임활용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명상기반 만다라모래치료 적용에 대한 연구: PTSD환자의 불안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 모래상자놀이가 불안정 성인애착 어머니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놀이를 활용한 용서증진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용서, 자아개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