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utee Resistance’ during Writing Tutorial as a Part of Negotiation: Case Studies on Two Korean EFL Students

이용수  11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현지(Lee, Hyeon-Ji) 조수경(Cho, Sookyu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3호, 29~4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두 한국 학생을 대상으로 영작문 튜터링에서 나타나는 이들의 저항을 학생과 튜터 간의 협상의 과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튜터링에서 나타나는 학생 저항은 대화 분석에서 비선호 행위로 바라보는 경향이 팽배했다(Waring, 200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튜터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타협과 협상이 중요하며 타협은 둘 사이에 갈등이 존재할 때 시작된다는 사회문화학적 관점을 채택하였다(Cho & Kim, 2014; Morley & Stephenson, 2015; Wood, Bruner, & Ross, 1976). 튜터링에서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문까지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는 글을 완성하는 전체 틀에서 두 학생의 저항을 살펴보려 한다. 두 학생의 비교 분석 결과 튜터링 동안 저항적으로 인식되었던 학생은 튜터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던 학생과 다르지 않게, 튜터의 피드백을 많이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튜터의 피드백에 대한 학생의 저항을 반드시 부정적으로 볼 필요 없이 오히려 협상의 과정으로 바라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튜터들에게 이러한 가능성을 인식시켜서 학생의 다양한 타협 방식을 다룰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utee resistance’ works as a part of negotiation between writing tutors and tutees by comparing two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So far, the resistance that tutees have shown during writing tutorials has been considered as a dispreferred practice in the framework of conversational analysis (Waring, 2005). However, this study adopts a sociocultural view that negotiation is key to tutor-tutee interactions and that it starts when there occurs a conflict between them (Cho & Kim, 2014; Morley & Stephenson, 2015; Wood, Bruner, & Ross, 1976).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written products as well as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tutors during writing tutorials,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udent resistance’ of two Korean EFL students in the whole process of their completing a writing project. The comparison of the two students suggested that the tutee who was seemingly more resistant was as likely as their less resistant counterpart to actually incorporate the tutor feedback. Such a result implies that a tutee’s resistance towards tutor feedback may not be necessarily negative; ra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 process of negotiation between the tutor and tutee. And thus by being aware of this possibility, tutors should be trained on how to cope with tutees’ various ways of negotiation in the tutorials.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V. Discussion and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지(Lee, Hyeon-Ji),조수경(Cho, Sookyung). (2022).‘Tutee Resistance’ during Writing Tutorial as a Part of Negotiation: Case Studies on Two Korean EFL Students. 교육학연구, 60 (3), 29-48

MLA

이현지(Lee, Hyeon-Ji),조수경(Cho, Sookyung). "‘Tutee Resistance’ during Writing Tutorial as a Part of Negotiation: Case Studies on Two Korean EFL Students." 교육학연구, 60.3(2022): 29-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