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ifferent Role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이용수  32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주(Kim, Eun Joo) 정혜경(Jung, Hyekyu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3호, 49~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개별 학생의 학업적 자기개념이 학교의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BFLPE(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 이론에 대해 경험적 자료 분석을 통한 실증적 검증을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PISA 2006 및 PISA 2012 국제비교연구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BFLPE의 이론적 틀에서 자기개념에 대한 교과목과 국가별 BFLPE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 대한 BFLPE 효과를 검증하고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개념적 차이를 경험적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비교하였다. PISA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층모형 적용하였으며, 국가별 분석 및 두 가지 영역(과학과 수학영역)에서 BFLPE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BFLPE가 OECD 국가 과학과 수학과목 모두에서 학생들의 자아 개념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BFLPE의 크기는 과학보다 수학에서 다소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 효능감에서는 일관성 있는 BFLPE 결과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선행 이론과 연계하여 학업적 자기개념과 자기 효 능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We revisited a theory called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BFLPE) that an individual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was negatively affected by their school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By analyzing PISA 2006 and PISA 2012 data,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BFLPE. This study examined the BFLPE on the academic self-concept as well as self-efficacy. We also examined if the BFLPE was consistent on different achievement domains (science vs. mathematics) across countries using multilevel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BFLPE appeared universal for students’ self-concept in both science and mathematics across OECD countries, but the magnitudes of the BFLPE appeared slightly larger in math than in science. However, the BFLPE was not consistently found in the academic self-efficacy. We discussed the different results between the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목차

I. Introduction
II. Backgrounds
III. Methods
IV. Results
Ⅴ. Conclu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Kim, Eun Joo),정혜경(Jung, Hyekyung). (2022).Different Role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교육학연구, 60 (3), 49-70

MLA

김은주(Kim, Eun Joo),정혜경(Jung, Hyekyung). "Different Role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교육학연구, 60.3(2022): 4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