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장년 구직자의 취업불안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 역량과 학력수준의 복합적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Job Anxie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Among Middle-Aged Job Seekers: The Paradox of Higher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4권 제3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장년층 구직자의 취업불안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 역량과 학력수준의 복합적인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 참여자 857명의 데이터를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3으로 분석한 결과, 취업불안, 사회적 관계 역량, 학력수준 간에 유의미한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대학 졸업 이하’ 집단에서는 사회적 관계 역량이 높을수록 취업불안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오히려 증폭되는 역설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반면, ‘대학원 졸업 이상’ 집단에서는 사회적 관계 역량의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사회적 관계 역량이 항상 긍정적 완충재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는 사회적 비교 등으로 인해 불안을 증폭시키는 양면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 구직 과정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제공하며, 이들의 학력과 사회적 관계 역량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lex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and educa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nxiety and job search self-efficacy among middle-aged job seekers. Using data from 857 participants in Seoul 50 Plus Foundation programs, analyzed with Hayes' Process Macro Model 3,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mong job anxiety,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and education level. Specifically, within the 'Bachelor's degree or lower' group, a paradoxical relationship emerged: higher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amplified the negative impact of job anxie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Converse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was not significant within the 'Graduate degree or higher' group. This suggests that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does not always function as a positive buffer, but can, under certain conditions, exacerbate anxiety through social comparison or other mechanisms. This research provides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job-seeking process for middle-aged adult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tailore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their education level and social relationship competen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장년 구직자의 취업불안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 역량과 학력수준의 복합적 조절효과
- 조직지원인식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업무그릿의 매개효과
- 진로유연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