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alysis of Opportunity Costs Based on Survey for 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이용수  16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방재범(Bang, Jae-beom) 한나영(Han, Na-young) 오정미(Oh, Jung-mi) 정규혁(Chung, Kyu-hyuck) 오희진(Oh, Hee-jin) 권혁기(K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3호, 93~11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약학교육 자격시험의 기회비용을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약학교육 자격 시험(PEET)은 대부분의 약학대학에서 학생의 적성과 기술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체 보고서 조사를 바탕으로 PEET 준비를 위한 기회 비용을 평가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약학과 교육학 분야 전문가들이 개발하여 최종 검증하였다. 기회비용은 간접비용으로서의 시간 측정값, 실제 시험 준비에 필요한 직접비용 등을 합산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에는 9개 대학에서 총 392명의 학생이 응답하였으며, 이 중 PEET 준비에 따른 기회비용 분석을 포함하여 설문에 응답한 학생은 245명이었다. 응답자의 대부분(92.60%)은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직접 비용에서는 교과 수업료와 주거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평균 준비기간은 17.76개월로서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거나 시골 지역 일수록 준비기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간접비용은 준비기간 중 최소한으로 산정되었다. 최종적으로 평균 기회비용은 5,506만원이었며, 연령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다만 생활지역, 약대 입학전 전공, 준비 시작 시기, 가구소득, 경제적 지원 등은 관련이 없었다.

영문 초록

The 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PEET) is required by most pharmacy schools for ascertaining students aptitude and ski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pportunity costs for the PEET preparation based on self-report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finally verified by experts in pharmacy and education. Opportunity costs were analyzed by summing the measurement of time, as indirect costs, and direct costs required to prepare the exam. A total of 392 students from 9 univers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of which 245 students were included the analysis of opportunity costs for the PEET preparation. A total of 392 students from 9 univers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of which 245 students responded to it, including opportunity cost analysis according to PEET prepar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92.60%) were very high dependent on private education. Tuition fee for subject classes and housing expens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direct cost. The average period was 17.76 months, and the prepar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longer with older age and rural living. Indirect costs were calculated as the minimum amount of activity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Finally, the average opportunity costs were 55,057 South Korean thousand w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age were higher. However, it was not related to living region, major before pharmacy school entrance, time of preparation start, household income, and economic suppor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Ⅴ. Discussion &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재범(Bang, Jae-beom),한나영(Han, Na-young),오정미(Oh, Jung-mi),정규혁(Chung, Kyu-hyuck),오희진(Oh, Hee-jin),권혁기(K. (2022).Analysis of Opportunity Costs Based on Survey for 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교육학연구, 60 (3), 93-111

MLA

방재범(Bang, Jae-beom),한나영(Han, Na-young),오정미(Oh, Jung-mi),정규혁(Chung, Kyu-hyuck),오희진(Oh, Hee-jin),권혁기(K. "Analysis of Opportunity Costs Based on Survey for 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교육학연구, 60.3(2022): 93-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