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테크놀로지 기반 유아평가 시스템을 통해 살펴본 디지털 교육거버넌스: 미국 헤드스타트(Head Start) 사례

이용수  148

영문명
Digital education governance through a technology-based child assessment system: Head Start program in the U.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김고은(Kim, Koeun)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7권 제1호, 61~8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 헤드스타트(Head Start) 사례를 통해 현재 미국 유아교육 분야에서 대 표적인 테크놀로지 기반, 상업용 유아평가 시스템으로 여겨지는 티칭 스트래티지 골드 (Teaching Strategies Gold, TS GOLD)를 사회기술 시스템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디지 털 교육거버넌스의 속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헤드 스타트 정책 변천사와 이를 둘러싼 쟁점들을 다룬 문헌자료들과 티칭 스트래티지 홈페이지 에서 제공하는 매뉴얼과 홍보자료 및 관련 출판물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수 집 및 분석을 토대로 사회·문화·경제적 산출물로서 TS GOLD가 출현하고 급속도로 성장 하게 된 배경을 1)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시스템 문화, 2) 유아평가 데이터에 근거한 책무성 에 대한 사회적 요구, 3) 유아교육 시장과 평가의 상업화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TS GOLD 의 기술적 속성이 헤드스타트 실제를 구성하는 방식을 1) 수량화 기술: 교육과정 운영의 획 일화 및 기계적 의사결정의 반복, 2) 시각화 기술: 유아 분류, 비교, 서열화 및 균질화, 3) 관 리·감독 기술: 교사평가 및 자기 감시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의 데이터 관련 전문가 집단, 시장에서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기업, 교육행정가, 교사, 그리 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기술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서로 결합하여 교사 행위의 다양한 측 면에 개입하고 조정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는 미래형 교육과정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에 듀테크 활성화를 통한 교육혁신을 추진하고자 하는 국내 상황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pproach the technology-based, commercial child assessment system from the sociotechnical perspective and critically discuss the digital education governance.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Teaching Strategies GOLD in the U.S. Head Start context. In doing so,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Head Start policy documents, TS GOLD manuals, marketing materials and other publications. The findings present 1) culture of datadrive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2) social demands for child assessment -based accountability, and 3) education market and privatization of assessment as a socio cultural and economic context for TS GOLD expansion. The findings then present how technical aspects construct Head Start practice as follows: 1) quantification: standardization and mechanical repetition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2) visualization: classification, comparison, and homogenization of children, and 3) monitoring and supervision: teacher evaluation and selfmonitoring. These findings reveal how data experts in society, market, administrators, teachers and digital technology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ntervene and steer the behaviors of individuals in various aspects of life. These findings also provide insights for the Korean education reform to drive educational innovation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EduTe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고은(Kim, Koeun). (2022).테크놀로지 기반 유아평가 시스템을 통해 살펴본 디지털 교육거버넌스: 미국 헤드스타트(Head Start) 사례.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7 (1), 61-87

MLA

김고은(Kim, Koeun). "테크놀로지 기반 유아평가 시스템을 통해 살펴본 디지털 교육거버넌스: 미국 헤드스타트(Head Start) 사례."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7.1(2022): 6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