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요양시설 여성 노인의 시간은 어떻게 흐를까?
이용수 73
- 영문명
- How Does Time Flow in Elderly Women in Nursing Homes?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저자명
- 김서현(Kim, Seo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14권 제3호, 29~6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의 인생은 유한하기에, 삶의 후반부를 살아가는 노인들의 시간 체험은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평생 누군가의 딸, 아내, 며느리이자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실천하며 살았던 이들이 노인요양시설에서 생을 마무리하면서 총체적으로 시간 체험을 한 바는, 한국 문화의 맥락에 근거해 여성 노인세대의 삶을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도움은 물론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를 위한 섬세한 지원 토대로서도 많은 사회복지적 함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 여성 노인의 시간 체험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현상학적 접근을 수행했다. 연구를 위해 총 7명의 연구참여자와 개별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이를 van Kaam(1987)이 제시한 심리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면밀하게 분석했다. 자료분석 결과, 총 52개의 부주제 및 1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것들을 다시 총 6개의 범주로 유목화했으며, 그 내용은 ‘누워서 반추하는 계집이었던 시절’, ‘찰나를 파고드는 나 죽을 미래’, ‘단순해진 하루들’, ‘작지만 기쁜 순간들’, ‘남이 돌봐주어 지내는 요즘’, ‘짐이 되어 죄스러운 나이’와 같았다. 또한, 최종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시간 체험에 관한 본질적 의미는 ‘성 역할 줄어든 뒤안길에서 저물어가는 한평생’임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발견한 점들을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 여성 노인의 복지 향상을 위해 논의 거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our lives are finite, the experience of time in older people living through the second half of their live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xploring the source of human existence. Especially, the overall experiences of time in those who have lived practicing identities as someone s daughter, wife, daughter-in-law or mother for life, finishing their lives at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not only help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he elderly women generation based o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but also become the basis of delicate support for the elderly that use long-term care facilities, which is full of implications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us, this study made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discuss the experience of time in elderly women in nursing homes intensively. For the research,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seven participants, and they were minut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sycho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van Kaam (1987).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ata, 52 sub-themes and 17 themes were drawn. These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categories, and the contents were, ‘the years when I was a woman in a low position, which I recall lying down,’ ‘the future when I die, which is seizing every moment,’ ‘the days that are simplified,’ ‘the moments that are small but happy,’ ‘the present when I live attended by others,’ and ‘the age felt guilty for being a burden.’ Finally,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time was ‘the life ending in the back alley with reduced gender role.’ Lastly,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for elderly women in nursing homes, the topics to discuss wer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목차
1. 서론
2. 문헌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