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윗의 분화수준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이용수 1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e of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for David: Narrative of David and Bathsheba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김지연(Kim, Ji Yeon) 김정아(Kim, Jung A) 김용태(Kim, Yong Ta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5권 제2호, 31~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윗이 간음죄와 살인죄를 짓는 과정에서 나타난 자기분화수준 변화과정에 대한 고찰과 그에 따른 기독교 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보웬가족치료 이론과 성경 속 인물과 사건을 통합적으로 해석하는 학문 내 통합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윗은 분화수준 85–95 범주의 높은 기본분화수준을 보였다. 둘째, 다윗의 간음죄는 다윗의 왕권세우기로 파생된 일시적 불안 때문에 공허, 외로움의 감정체계 반응으로 권력과 융해된 다윗–밧세바(간음)–‘다윗 남은 가족’의 삼각화 대상을 찾는 낮은 기능분화수준 현상이다. 셋째, 하나님은 다윗의 분화수준으로 치료적 개입을 하셨고, 다윗은 빠른 회개를 하며 정서체계를 활발하게 움직이며 일시적으로 융해된 권력과 간음으로부터 탈 삼각화 현상을 보였다. 이것은 다윗의 기능분화수준 변화와 기본분화수준의 회복을 가져왔다. 연구결과 첫째, 높은 기본분화수준의 사람도 일시적으로 상황에 따라 낮은 기능분화수준을 보일 수 있다. 둘째, 하나님이 다윗 분화수준에 맞는 치료적 개입으로 치료적 탈 삼각화 현상을 가져온 것처럼 상담자 역시 내담자 분화수준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기본분화 변화과정은 평생에 걸친 작업이며 영적 성숙과 심리적 성숙은 비례관계가 아니기에 성화과정의 그리스도인은 심리적 성숙의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rough the narrative of David and Bathsheba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The way of study i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collectively through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of Bowen’s family therapy and actual events told in the Bible. The research findings are, first, King David had a high level of basic differentiation of self in the range of 85 to 95. Second, King David had a low level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elf because he suffered from anxiety about loneliness and a sense of emptiness from the temporary triangle (David – adultery – remnant of family) combined with sexual immorality, confusion in power, and murder. Third, through God’s therapeutic intervention, David was able to quickly repent and recover the sam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David’s level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elf was changed by resulting in quick repetitive movement in his emotional system. Also, temporary fusion relationship by power and adultery was changed through the therapeutic triangle. This brought about the recovery of David’s basic differentiation of self.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eople with high level of basic differentiation of self can, depending on the situation, show a low level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elf. Not only non–Christians but devout Christian believers, who are going through sanctification, need to work on their psychological maturity.
목차
Ⅰ. 서론: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Ⅱ. 보웬이 말하는 자기분화(Differentiation of self)
Ⅲ.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 에 관한 신학적·심리학적 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