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화와 자아분화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f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and difference of self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 comparison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김지인(Kim, Ji In) 오제은(Oh Jea-Eu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5권 제2호, 59~9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의 유무에 따라 부모화와 자아분화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학생들을 위한 진로상담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 대학생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기독교인 대학생 집단의 부모화는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단절과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인 삼각화는 진로태도 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준비성과 부적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기독교인 대학생 집단의 경우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인 대인 관계적 분화는 부모화와 진로태도 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준비성과 부적상관을 이루었다. 둘째, 기독교인 대학생 집단의 경우 진로태도 성숙도의 하위요인인 목적성에,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인 정신내적 분화가 단독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비기독교인 대학생 집단의 경우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인 대인 관계적 분화와 정서적 단절이 차례대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화된 대학생의 진로상담 시 이들의 불안 해소방법의 건강성 여부를 점검할 필요성과 가족 및 환경으로부터의 진정한 자아분화와 진로성숙을 돕는 상담전략이 개발되어야 하는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depending on having or not having Christian beliefs, and to provide useful career counseling materials for university students.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50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produce result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fication of Christian students has a negative correlation on a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cutoff. Also, a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triangle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sub–fa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preparation. As well, for non–Christian students, a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leve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fication and a sub–fa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preparation. Secondly, for Christian students, a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intrapsychic level, independently had an effect on a sub–fa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finality; and for non–Christian students,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level and emotional cutoff, had an effect on finality, in that order.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specting the healthiness of parentified university students for relieving anxienty at the time of career counseling, and of developing a counseling strategy that helps true self–differentiation from family, environme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